Surprise Me!

[현장연결] 중대본 "코로나 백신 미접종자 중심으로 확진자 증가세"

2021-11-01 0 Dailymotion

[현장연결] 중대본 "코로나 백신 미접종자 중심으로 확진자 증가세"<br /><br />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결과를 설명합니다.<br /><br />직접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[박 향 /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]<br /><br />11월 1일 월요일 중대본 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.<br /><br />지난 한 주간 상황에 대해서 먼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오늘부터 단계적 일상회복이 전환됨에 따라서 종전 확진자 규모 분석에서 의료대응, 위중증 및 사망 현황 중심으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먼저 의료대응 여력입니다.<br /><br />의료대응체계는 현재 안정적인 상황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늘 기준으로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은 총 1,083병상 중 594병상, 54.8%가 사용 가능합니다.<br /><br />감염병 전담병원은 48.6%가 사용 가능하겠습니다.<br /><br />생활치료센터도 59.1%가 여유가 있으며 현재 2,812명이 재택치료를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어제 재택치료로 배정된 환자는 총 423명에 되겠습니다.<br /><br />의료체계는 50 내지 60% 정도 여유를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재택치료의 활성화와 안정화를 위해서 각 지역이 대응체계를 강화하고 있는 중입니다.<br /><br />두 번째 위중증 및 사망 현황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10월 24일 일요일부터 10월 16일 토요일까지 위중증환자와 또 사망자 수는 모두 직전 주 대비해서 감소를 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주 하루 평균 위중증환자가 333명이고 그직전주 343명보다는 약간 감소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그렇지만 지난 5주간 300명대를 벗어나지 않고 유지되고 있는 상태입니다.<br /><br />60세 이상이 74.1%로 고령층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위중증 환자와 또 중환자실 이용 간의 어떤 그런 연관 관계를 고려해 본다면 500명 이내 수준에서는 중환자실 운영에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1주간 총사망자 수는 85명입니다.<br /><br />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족께도 위로의 말씀 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직전주 101명에 대해 사망자 숫자는 소폭 감소하였습니다.<br /><br />참고로 우리 계절독감 사망자 수하고 한번 비교를 해 보게 되면요.<br /><br />계절독감의 한 해 사망자가 대략 2000에서 3,000명 정도로 추정을 합니다.<br /><br />이걸 한 주로 따지면 40 내지 60% 정도로 사망규모는 현재 코로나보다는 좀 낮은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최근 코로나19로 사망한 389명을 한번 분석해봤습니다.<br /><br />예상접종을 완료하지 않은 경우가 294명으로 75.6%입니다.<br /><br />또 그중에 60대 이상이 333명입니다. 85.6%에 해당됩니다.<br /><br />접종을 받지 않을수록 그리고 고령층일수록 사망의 위험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고령층 중에서 아직 그래서 접종을 완료하지 않으신 분들에 대해서는 반드시 접종을 반드시 접종을 받으실 걸 다시 한번 권고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다음으로 지난 한 주간의 유행규모입니다.<br /><br />지난 1주간 국내 확진자 수가 1,716명이었습니다.<br /><br />직전주 직전 주 1,339명보다 28.2%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직전 3주간 정도는 감소추세를 보였었는데요.<br /><br />확진자 발생이 지난주 들어서 다시 증가하는 양상입니다.<br /><br />따라서 지난주 주간 감염재생산지수도 1.03으로 직전주 3주간의 1 미만이었던 것이 다시 증가세로 전환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이런 상황은 거리두기 완화 그리고 일상회복에 대한 기대감, 또 추운 날씨 때문에 실내활동이 증가되면서 환기가 좀 어려워졌기 때문에 확진자 수가 증가세로 전환한 것이 아닌가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8주간의 18세 이상 확진자 8만 7,273명 중의 접종을 완료하지 않은 경우는 77.9%입니다. 또 완전접종군은 28.1%가 되겠습니다.<br /><br />접종 완료 인구가 훨씬 많은 점을 고려했을 때 미접종자를 중심으로 전파가 주도되고 있고 또 유행 규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제까지 접종을 완료한 국민은 75.3%입니다.<br /><br />특히 18세 이상을 기준으로 보면 87.6%입니다.<br /><br />성인 인구의 10명 중 약 9명이 접종을 완료한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.<br /><br />예방접종은 중증화와 또 사망률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본인의 감염을 예상하고 또 다른 사람들에 대한 감염 전파 가능성도 줄여줍니다.<br /><br />아직 예방접종을 받지 않으신 분들 본인의 건강과 가족의 안전을 위해 또 우리 사회 모두를 위해서 반드시 예방접종에 참여해 주실 것을 다시 한번 당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오늘 중대본회의에서는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에 따른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대응지침, 개편방안에 대해서 논의했습니다.<br /><br />11월 1일 오늘부터 사회복지시설에 대해서는 제압 완료자를 중심으로 출입을 허용합니다.<br /><br />그리고 미접종자는 PCR 음성 확인자만을 허용하는 이른바 방역패스를 시행합니다.<br /><br />사회복지시설은 고령층 등 건강 취약 계층들이 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코로나19로 인한 치명률이 높은 그런 취약한 시설이죠.<br /><br />따라서 미접종자를 중심으로 한 전파를 차단하고 또 보호하는 것이 그 어느 다른 시설보다도 중요합니다.<br /><br />따라서 접종면회는 일반적인 방역패스와는 다르게 접종 완료자에 한해서만 허용됩니다.<br /><br />다만 미접종자는 생활자가 임종 또는 의식불명 등의 긴급한 상황 등이 있는 경우 PCR 음성 확인을 한 다음에 보호용구를 착용하에 예외적으로 접촉 면회가 가능합니다.<br /><br />또 자원봉사자나 실습생 등 외부인들의 출입은 접종을 완료한 경우에만 제한 없이 출입이 허용됩니다.<br /><br />다만 미접종자는 출입 기간 또 횟수에 따라서 예외적으로 출입이 허용되겠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일주일 이상 출입을 해야 되는 경우에는 PCR 음성 확인시에만 출입이 허용되고요.<br /><br />주기적인 PCR 또 의무화는 계속 유지합니다.<br /><br />또 미접종자는 외출과 외박에 있어서도 금지됩니다.<br /><br />따라서 개학에 따른 등교나 생계유지를 위한 출퇴근만을 예외적으로 허용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경우에도 시설 내 별도 격리 생활 공간을 마련해서 운영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앞으로도 우리 사회 전반의 일상회복을 위한 준비에 만전을 기하면서도 감염위험으로부터 취약시설을 보호하기 위해서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.<br /><br />오늘부터 본격적으로 일상회복을 위한 첫발을 내딛게 됐습니다.<br /><br />이는 새로운 일상으로의 시작으로서 우리가 한 번도 가 보지 않은 미지의 길입니다.<br /><br />겨울철에 실내활동...

Buy Now on CodeCanyon